교회사

도서자료

메디나 신부,『한국천주교전래의 기원 (1566~1784)』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5-01-23 16:58
조회
368

메디나 신부,『한국천주교전래의 기원 (1566~1784)』, 박철 옮김, 서강대학교 출판부, 1989.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

서문

서반아어 초판에 붙여

격려사

 

제 1부

 

1. 머나먼 까울리

2. 일본 신화 속의 한국

3. 일본 속의 한국문화

4. 한반도의 통일

5. 일본 침략을 기도한 10,000명의 고려군

6. 야마구찌(出口)의 조선인들, 꼬스메 데 또레스(Cosme de Tirres)신부

7. 또레스(Torres)신부의 유언과 가스빠르 빌렐라(Gaspar Vilela)

8. 조선에 비친 최초의 유럽인들

9. 조선정복을 꿈꾸는 오다노부나가

10. 도요도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등장

11. 히데요시에 반대한 일본귀족 및 예수회 신부들

12. 그레고리오 데 세스뻬데스(Gregorio de Cespedes)와 한깐 레온(Hankan Leon)

13. 조선 최초의 예수회 선교사들

14. 조선에 온 다른 예수회 신부들, 프란시스꼬 데 라구나(Francisco de Laguna) 다무라 로만(Tamura Roman)

15. 1592년 최초의 조선 천주교회 탄생

16. 1592년 이전 조선에 전파된 천주교회

17. 노예제도와 천주교회

18. 양국의 조선인 신도들

19. 조선 최초의 순교자 하찌깐 호아낀(Hachikan Joaquin)

20. 한반도에 대한 새로운 전략

21. 이태리 신부들, 볼드리노(Boldrino), 지안노네(Giannone), 에우헤니오(Eugenio)

22. 도미니꼬회 신부들

23. 다른 3명의 조선인 순교자들

24. 중국으로부터의 입국계획, 롱고바르도(Longobardo), 삼비아시(Sambiasi), 성광계(徐光啓)

25. 경제적 어려움

26. 일본에서 순교한 그 밖의 조선인들

27. 많은 천주교도들을 보유하게 된 조선

28. 북경에서의 새로운 입국시도, 로드리게스(Rodrigues)와 푸르따도(Furtado)

29. 프란시스꼬회의 성급함

30. 루비노(Rubino), 아마랄(Amaral), 그리고 조선인 미겔 까르발로(Miguel Carvalho)

31. 북경에서 많은 조선인들에게 세례를 준 아담 샬 (Adam Shall)

32. 프란시스꼬회의 침착함

33. 필리핀에 까지 미친 조선의 반항

34. 조선의 아름다운 성당과 많은 천주교도들

35. 조선을 주시한 페르난도 베르비스트(Fernando Verbiest)신부

36. 조선을 염원하는 안또니오 또마스(Antonio Thomas)

37. 지도제작을 위해 조선해안을 답사한 예수회 신부들

38. 해외로부터의 조선선교

39. 조선에 인접한 최초의 성당

40. 조선 정계의 신중함

41. 결론

제1부의 주

한국 천주교회사 연대표

 

제2부

서언

1566. 가스빠르 빌렐라(Gaspar Vilela)

1581. 미겔 루기에리 (Miguel Ruggieri)

1592. 일본의 한국 침략

1594. 고레고리오 데 쎄스뻬데스 (Gregorio de Cespedes)

1596. 구마모또(Kumamoto) 지방의 우또(Uto)에서 세례받은 한국인들

1597. 후시미(伏見)의 한국인 천주교인

1598. 루이스 세르께이라 (Luis Cerqueira)

1598-1599. 중국에서 본 일본의 한국침략

1603. 히메지(Himji)의 한국여인

1605.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1)

1605. 한국의 문인과 예수회 사제

1607. 은총을 받은 한국여인

1608. 오까야마(Okayama)에서 세례받은 한국여인

1608.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2)

1611-1612.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3)

1612.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4)

1612.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5)

1612. 프란시스꼬 볼드리노(Francisco Boldrino) (1)

1613. 한국의 첫 순교자, 하치칸 로아낀(Hachikan Joaquin)

1613. 아미라(有馬) 왕궁의 한국여인, 막시마(Maxima)

1614. 박 마리아(Park Maria) (1)

1614. 프란치스꼬 볼드리노(Francisco Boldrino) (2)

1614. 쿠지노쯔(口之津)의 순교자, 미겔(Miguel)과 뻬드로(Pedro)

1614. 밀알의 기적

1614. 벙어리 마누엘 (Manuel)

1615.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6)

1617. 프란치스꼬 볼드리도(Francisco Boldrino) (3)

1618. 한국 귀족계의 복사, 또마스(Tomas)

1619. 순교자 아리조 뻬드로(Arizo Pedro)와 쇼사꾸 또마스(Shosaku Tomas)

1619. 복사, 다께야 소자부로 꼬스메(Takeya Sozaburo Cosme)

1619. 프란치스꼬 삼비아시(Francisco Sambiasi)

1619. 관리(官吏), 빠울로(Paulo)

1619. 오따(大田) 훌리아(Ota Julia) (7)

1620. 파괴된 한국 최초의 교회

1622. 나가사끼(長崎)의 대순교, 복자, 안또니오(Antonio) 마리마(Maria), 이네스(Ines), 후안(Juan), 뻬드로(Pedro)

1622. 12세의 복자, 프란시스꼬(Francisco)

1624. 최초의 한국 예수회 복자, 가요(Gayo) (1)

1624. 한국인 예수회 복자, 가요(Gayo) (2)

1624. 한국인, 구자에몬 시스또(久佐衛門 Sixto)

1626. 이름모를 두 한국인

1626. 복자, 권 까히오에 비센떼(Kaun Kahyoe Vicente S.J.) (1)

1626. 복자, 권 까히오에 비센떼(Kaun Kahyoe Vicente S.J.) (2)

1626. 복자, 권 까히오에 비센떼(Kaun Kahyoe Vicente S.J.) (3)

1626. 복자, 권 까히오에(Kaun Kahyoe)와 그의 부인 마르따(Marta) (1)

1627. 복자, 아까지 히에몬 까요와 그의 부인 마르따 (2)

1627. 복자, 까요(Cayo), 또마스(Tomas), 가스빠리(Gaspar), 마리마(Maria)

1629. 운젠(Unzen)에서 순교한 이사벨(Isabel)

1630. 바다에 던져진 빠블로(Pablo)

1636. 박 마리아(Park Maria) (2)

1643. 또마스(Tomas)

1690. 안또니오 또마스(Antonio Tomas) (1)

1698. 안또니오 또마스(Antonio Tomas) (2)

제2부의 주

참고서목

전체 3,72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694
김운태, 『朝鮮王朝行政史(조선왕조행정사)』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247
수도회 2015.01.23 0 247
3693
장정란,『그리스도교의 중국 전래와 동서문화의 대립』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212
수도회 2015.01.23 0 212
3692
박철,『세스뻬데스』(서강학술총서 17)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193
수도회 2015.01.23 0 193
3691
메디나 신부,『한국천주교전래의 기원 (1566~1784)』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368
수도회 2015.01.23 0 368
3690
김구정,『영남순교사』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164
수도회 2015.01.23 0 164
3689
김구정∙김영구,『천주교 호남발전사』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176
수도회 2015.01.23 0 176
3688
엘리자베스 키스,『영국화가 엘리자베스 키스의 코리아 1920~1940』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184
수도회 2015.01.23 0 184
3687
까를로 로제티,『꼬레아 꼬레아니 : 백년전 이태리 외교관이 본 한국인과 한국인』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207
수도회 2015.01.23 0 207
3686
서울역사박물관,『로쎄티의 서울』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217
수도회 2015.01.23 0 217
3685
지명숙∙왈라벤,『보물섬은 어디에 – 네덜란드 공문서를 통해 본 한국과의 교류사』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250
수도회 2015.01.23 0 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