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학위논문

이석재,『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19-20세기 만주지역 천주교회를 중심으로』,인하대 대학원, 2000. 8, 박사(사학)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3-02-20 11:10
조회
181

이석재,『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19-20세기 만주지역 천주교회를 중심으로』,인하대 대학원, 2000. 8, 박사(사학)

 

국문목차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서론

     1. 연구의 목표 설정과 접근 과정

     2. 연구의 범위

          1) 시기적 범위

          2) 지역적 범위

          3) 연구와 유관된 재화 선교 수도승

     3. 기존 연구 내용과 사료

 

제1장 조선 대목구 설정(1831) 이전 중국과의 접촉

     1. 조선 천주교도들의 북경 밀사 역할

          1) 주문묘 신부 입국(1795) 이전의 밀사

               (1) 1784년 익명의 밀사

               (2) 윤유일(바오로, 1760∼1795)

               (3) 지 황(사바, 1765∼1795)과 Po(중국식 발음) 요한

          2) 주문묘 신부 입국(1795) 이후의 밀사

               (4) 배 마티아

               (5) 황 심(토마스, 1756∼1801)

               (6) 윤지헌(프란치스코, 1764∼1801)

               (7) 김유산(토마스, 1760∼1801)

               (8) 옥천희(요한, ?∼1801)

               (9) 김 시몬과 유전시

          3) 주문묘 신부 순교(1801) 이후의 밀사

               (10) 이여진(요한, ?∼1830)

               (11) 정하상(바오로, 1795∼1839)

               (12) 유진길(아우구스티노, 1791∼1839)

               (13) 조신철(가롤로, 1795∼1839)

          4) 조선교구 설정(1831년) 이후의 밀사

               (14) 현석문(가롤로, 1797∼1846)

               (15) 김 프란치스코

               (16) 최지혁(요한, 1808∼1878)

               (17) 권치문(타대오)

               (18) 소현세자(1612∼1645)

     2. 북경에서 세례 받은 조선인

               (1) 이승훈(베드로, 1756∼1801)

               (2) 윤유일(바오로, 1760∼1795)

               (3) 오(또는 우, 요한 세자)

               (4) 옥천희(요한, ?∼1801)

               (5) 이광열(세자 요한, 1795∼1839)

               (6) 유진길(아우구스티노, 1791∼1839)

               (7) 조신철(가롤로, 1795∼1839)

               (*) 김 펠릭스 베드로

     3. 조선 천주교회를 위해 활동한 재중 선교사

               (*) 서광계(바오로, 1562∼1633)

               (1) 아담 샬(Johannes Adam Schall, S.J., 양약망, 1591∼1666) 신부

               (2) 쯔즈(Joannes Rodriquez Tcuzzu(이미지 참조), S.J., 육약한, 1561∼1634) 신부

               (3) 마르티니(Martinus Martini, S.J., 위왕국, 1614∼1661) 신부

               (4) 카발레라(Antoine de Sainte-Marie Caballera, O.F.M.) 신부

               (5) 델라 키에사(Bernardinus della Chiesa, O.F.M., 이대인, ?∼1721) 주교

               (6) 카발리(Crescenziano Cavalli, O.F.M., 1754∼1791) 신부

               (7) 마르키니(Giovanni Battista Marchini, 세례자 요한 수도회, 1785∼1823 마카오 성청 대변인 재임) 신부

               (8) 눈(Jose(이미지 참조) Riberiro Nunes) 신부

               (9) 르그레즈와(Pierre Louis Legregeois(이미지 참조), M.E.P., 1801∼1866) 신부

               (10) 고틀랑(Claude Gotteland, S.J., 1803∼1856) 신부

               (11) 리브와(Napoleon(이미지 참조) Libois, M.E.P., 1805∼1872) 신부

               (12) 칼르리(Joseph M. Callery, M.E.P., 1810∼1862) 신부

               (13) 드 베시(Louis-Theodore de Besi(또는 Bezi), O.F.M., 라류사, ?∼1871)(이미지 참조) 주교

               (14) 브뤼니에르(Maxime de la Brueiere(이미지 참조), M.E.P., 보, 1816∼1846) 신부

               (15) 데플레슈(Eugene J.C.Desfleches, 1814∼1887)(이미지 참조) 신부

               (16) 루세이(Rousseille) 신부

               (17) 데 사라이바(Joachim Souza de Saraiva, 1744∼1818) 주교

               (18) 드 그라몽(Jean-Joseph de Grammont, S.J. 양동재) 신부

               (19) 드 방타봉(Jesn-Mathiu de Ventavon, S.J., 왕달홍, 1733∼1787) 신부

               (20) 데 구베아(Alexander de Gouvea, 1751∼1808, 양사선) 주교

               (21) 오 (Joan dos Remedios) 신부

               (22) 생 마르탱(Jean Lidier de St. Martin, M.E,P., ?∼1801) 주교

               (23) 엉피에르(Raphael Umpierres, 1823∼1835 재임) 신부

               (24) 로(Nicolaus-Joseph Raux, C.M., 라황상, 1754∼1801) 신부

               (25) 길랭(Jean-Joseph Ghislain, C.M., 길덕명, 1751∼1812) 신부

               (26) 드 프아로(Louis de Poirot, 하청태, 1735∼1814) 신부

               (27) 마레스카(Francois(이미지 참조) Maresca, S.J., 1806∼1855) 주교

               (28) 브 뤼기에르(Barthelemy Bruguiere, M.E.P., 소, 1792∼1835)(이미지 참조) 주교

               (29) 유방제(파치피코; 중국명, 여(여)항덕, 1795∼1854) 신부

               (30) 베롤(Emmanuel Jean Francois(이미지 참조) Verrolles, M.E.P., 방제각, 1805∼1878) 주교

               (31) 마르티노(Alexandre Jeremie(이미지 참조) Martineau, M.E.P., 남 알렉산델, 1841∼1875) 신부

               (32) 리샤르(Pierre Eugene(이미지 참조) Richard, M.E.P., 채 에우제니오, 1842∼1880) 신부

     4. 조선 대목구 분할에 대한 선교회 간의 갈등

          1) 포르투갈 보교권(Padroado)과 북경 진출 선교회

          2) 포교성 선교제도인 교황대리 감목제

               (1) 포교성(Congregatio de Propaganda Fide)

               (2) 교황대리 감목구

          3) 재속 선교 단체인 파리외방전교회의 중국 선교

 

제2장 요동 대목구 설정과 분구

     1. 요동 대목구 설정 경위

     2. 요동 대목구의 발전과 분구

     3. 만주 대목구 내의 조선 대표부

          1) 양관(Yangguan)(이미지 참조) 성당

          2) 차구(Chagou)(이미지 참조) 성당

          3) 소팔가자(Xiaobajiazi)(이미지 참조) 성당

     4. 북경과 요동 지역 대목구 분구와 조선 천주교회

 

제3장 독일 성 분도회의 조선 진출과 선교화동

     1. 독일 성 분도회의 조선 진출 경위

     2. 조선 진출 성 분도회원들의 첫 선교활동

          1) 종신 사범학교와 종공 기술학교의 개교

          2) 원산ㆍ연길ㆍ의란 지역 사목 관할권 수임

               (1) 원산 지역 사목 관할권 수임

               (2) 연길ㆍ의란 지역 사목 관할권 수임

     3. 연길 지역 성 분도회원들의 선교활동

          1) 선교의 모체인 수도원

          2) 한국인 후진 양성

          3) 수사들의 활동

               (1) 수도원의 장인들

               (2) 평수사들의 특별한 선교적 공헌

          4) 전체 개혁 운동과 쇄신

               (1) 연길에서의 “전체 운동”

               (2) 한국어 미사경본들

          5) 청소년 운동과 타르시치오(Tarsicius)회

               (1) 볼셰비즘(Bolshevism)의 대두와 한 협회의 설립

               (2) 청소년 기구의 지속적인 발전

 

제4장 연길 지역 각 본당과 교역자 활동

     1. 간도 지역 초기 교회

          1) 김이기와 김영열

          2) 북관의 12사도

          3) 간도 지역의 교우촌 형성

          4) 간도 지역 세 본당의 설립

     2. 연길 대목구의 정치ㆍ사회ㆍ종교적 상황

          1) 정치적 상황

          2) 사회적 상황

          3) 종교적 상황

     3. 연길 대목구 각 교회와 선교사 활동

          1) 연길교구본부 및 연길하시(국자가) 천주교회

          2) 연길상시(연길서부, YENKI WEST) 천주교회

          3) 용정 천주교회

          4) 용정하시 천주교회

          5) 영암촌(삼원봉) 천주교회 (1909~1931) 대답자 천주교회(1931~1946)

          6) 조양하 천주교회 팔도구 천주교회

          7) 대영동 천주교회 (1926~1935) 차조구 천주교회 (1935~1946)

          8) 휘춘 천주교회

          9) 입지(육도포) 천주교회

          10) 포화 천주교회

          11) 두도구 천주교회

          12) 명월구(옹성납자) 천주교회

          13) 북합마당 천주교회

          14) 왕청 (백초구) 천주교회

          15-1) 목단강 천주교회(한인 공동체)

          15-2) 목단강 천주교회(중국인 공동체)

          16) 신점(Sintchan) 천주교회

          17) 상도구 천주교회

          18) 도문 천주교회

          19) 연길 올리베따노의 성 베네딕도 수녀회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부록

전체 396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6
이용성,『한국 혼인법과 가톨릭교회 혼인법의 비교연구』,전주대 대학원 2002. 2, 박사(법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58
수도회 2013.02.20 0 158
35
원재연,『조선후기 서양인식의 변천과 대외개방론』,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8, 박사(사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57
수도회 2013.02.20 0 157
34
이석재,『중국천주교회와 조선천주교회의 연계활동에 관한 연구 :19-20세기 만주지역 천주교회를 중심으로』,인하대 대학원, 2000. 8, 박사(사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81
수도회 2013.02.20 0 181
33
강경애,『1970년대 한국 천주교회와 국가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70년대 천주교 사회운동을 통해본 교회-국가갈등을 중심으로』,성신여대 대학원, 2000. 8, 박사(사회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98
수도회 2013.02.20 0 98
32
김영일,『다산의 상제사상 연구 :그의 『중용』해석을 중심으로』,건국대 대학원, 2000. 2, 박사(철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19
수도회 2013.02.20 0 119
31
이재섭,『조선후기 천주교가 민중교육에 끼친 영향』, 경북대 대학원, 1999. 8, 박사(교육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34
수도회 2013.02.20 0 134
30
이경원, 『한국 근대 천사상 연구 : 인격천관을 중심으로』,성균관대 대학원, 1999. 2, 박사(철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42
수도회 2013.02.20 0 142
29
윤선자, 『조선총독부의 종교정책과 천주교회의 대응』,국민대 대학원, 1998. 2, 박사(사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46
수도회 2013.02.20 0 146
28
신광철,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상호관계 및 이해에 대한 연구』,서울대 대학원, 1996. 8, 박사(종교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181
수도회 2013.02.20 0 181
27
서종태, 『성호학파의 양명학과 서학』,서강대 대학원, 1996. 8, 박사(사학)
수도회 | 2013.02.20 | 추천 0 | 조회 240
수도회 2013.02.20 0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