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사

도서자료

오영교, 『조선후기 사회사 연구』

작성자
수도회
작성일
2015-01-26 19:57
조회
837

오영교『조선후기 사회사 연구』, <연세국학총서64>, 2005, 혜안

 

서언

1부 조선후기 향촌사회 운영론과 사회제도

 

17세기 향촌사회 운영론

1. 서론

2. 서기 구분과 17세기 향촌사회

3. 향촌사회의 지배구조와 운영론

1) 17세기 향촌사회 상황

2) 사족지배체제의 구조와 운영

3) 국가의 향촌지배정책의 전개

(1) 守令制(수령제)의 정비

(2) 面里制五家作統制(면리제오가작통제)의 전개

(3) 鄕所 對策(향소 대책)

4) 磻溪 柳馨遠(반계 유형원)의 향촌사회 운영론

4. 재지사족과 공적 사회제의 결합 양상

5. 결론

 

18세기 사회제도의 편제와 운영 原州牧(원주목)의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原州牧(원주목)의 邑勢(읍세)와 행정체계

1) 邑勢(읍세)와 지역적 특색

2) 原州牧(원주목)의 행정체계

3. 18세기 원주의 실정과 향촌조직의 운영

1) 農形(농형)보고와 傳令(전령)체계

2) 조세수취체계와 향촌조직의 운영

(1) 田結稅와 軍役稅 및 徭役 징수체계(전결세와 군역세 및 요역 징수체계)

(2) 還穀(환곡)제도의 운영과 향촌조직

(3) 監營財政과 原州牧(감영재정과 원주목)

3) 面里制五家作統制(면리제오가작통제)의 운영과 향촌상황

4. 결론

 

 

2부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구조와 운영

 

조선후기 동족마을 연구Ⅰ 구조와 운영체계

1. 서론

2. 동족마을 연구의 현황

3. 동족마을의 성립 배경

1) 동족마을의 형성계기와 요인

2) 입향 유래와 거주지 이동의 추이

4. 동족마을의 구조와 운영

5. 결론

 

조선후기 동족마을 연구Ⅱ 초계 정씨 동족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草溪 鄭氏의 原州入鄕과 關東派의 성립(초계 정씨의 원주입향과 관동파의 성립)

3. 橫城(횡성) 동족마을의 형성과 전개

1) 橫城 公根(횡성 공근) 동족마을의 형성과정

2) 不祧廟・別廟의 건립과 七峰書院에의 亨祀(부조묘・별묘의 건립과 칠봉서원에의 형사)

4. 草溪 鄭氏(초계 정씨) 동족마을의 구조와 운영

1) 土地制의 운영과 相續制의 전개(토지제의 운영과 상속제의 전개)

(1) 草溪 鄭氏家(초계 정씨가)의 토지운영

(2) 상속제의 전개와 경제구조

2) 奴婢制(노비제운영

3) 祭儀(제의)의 집행과 宗約(宗規)(종약(종규))의 운영

(1) 祭祀(제사)의 내용과 기능

(2) 別廟 亨祀(별묘 형사)의 전개과정

(3) 「喪葬記(상장기)」 분석

(4) 宗約(宗規)(종약(종규))와 문중조직

5. 결론

 

조선후기 洞契(동계)의 구조와 운영 –영월 激遷契(격천계)의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조선후기 激遷契(격천계)의 구조와 운영

1) 水周 武陵里 激遷契의 성립(수주 무릉리 격천계의 성립)

2) 激遷契(격천계)의 구조와 구성원 분석

(1) 激遷契(격천계)의 구조

(2) 구성원 분석

3) 激遷契(격천계)의 운영

(1) 직임의 분석

(2) 洞契(동계)의 財源(재원)운영

3. 조선후기 原州牧 東4面의 행정체계와 洞契의 激遷契(원주목 동4면의 행정체계와 동계의 격천계)

1) 4(4)의 지형적 특색과 邑勢(읍세)

2) 4(4)의 행정체계와 향촌조직의 운영

4. 공적 사회제도의 운영과 激遷契(격천계)

5. 결론

 

조선후기 門中(문중)의 여성교육과 任允擊堂(임윤격당)

1. 서론

2. 조선시대 門中敎育(문중교육)과 여성교육

1) 문중교육의 범위와 내용

2) 여성교육의 전개

3. 豊川 任氏・平山 申氏의 門中敎育과 任允擊堂(풍천 임씨・평산 신씨의 문중교육과 임윤격당)

1) 豊川 任氏(풍천 임씨)의 가계와 문중교육의 전개

2) 平山 申氏(평산 신씨)의 가계와 문중 운영

(1) 平山 申氏(평산 신씨)의 同族(동족)마을의 형성과 운영

(2) 任允擊堂의 宗婦생활(임윤격당의 종부생활)

3) 任允擊堂(임윤격당)의 여성교육관

4. 결론

 

 

3부 19세기 사회변동의 전개

 

1862년 농민항쟁 연구Ⅰ 전개과정과 역사적 성격

1. 서론

2. 1862년 농민항쟁의 발생계기

1) 생산력 발달에 따른 농민층분해와 계급대립

2) 국가의 조세수탈에 대한 농민들의 저항

3) 사대부 토호들의 불법적인 향촌지배

3. 1862년 농민항쟁의 발생지역

4. 항쟁 집단의 조직과 사상

1) 민간신앙에 바탕한 반봉건・반유교적 사상

2) 봉기를 주도한 몰락양반의 계급적 한계

3) 관 주도로 이루어진 鄕會(향회조직의 문제점

4) 민 주도의 조직을 통한 농민봉기

5) 독자적으로 항쟁대열에 가담한 樵軍(초군조직

5. 농민항쟁의 전개과정

1) 동헌관속의 습격과 불법적 향촌지배에 대한 항거

2) 농민들의 정치의식과 봉건적 덕정체계에 대한 환상

3) 농민봉기의 한계를 극복한 1862년 항쟁

6. 조선왕조의 대책

1) 봉기진압과 주동자 체포

2) 삼정문란의 해결을 위한 개혁

7. 결론 – 1862년 농민항쟁의 결과 및 성격

 

1862년 농민항쟁 연구Ⅱ 전라도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1. 서론

2. 19세기 사회경제상황과 농민항쟁의 발생

1) 농민항쟁의 발생 배경과 계기

2) 전라도 지역 농민항쟁의 요구조건 분석

3. 농민항쟁의 전개과정

1) 함평농민항쟁의 사례

2) 농민항쟁의 전개과정 분석

3) 조선왕조의 대응

4. 결론

전체 3,724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3724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Ⅰ(조선후기농업사연구)』
수도회 | 2015.02.23 | 추천 0 | 조회 758
수도회 2015.02.23 0 758
3723
김용섭, 『朝鮮後期農業史硏究Ⅱ(조선후기농업사연구)』
수도회 | 2015.02.23 | 추천 0 | 조회 851
수도회 2015.02.23 0 851
3722
한영우, 『朝鮮前期 社會思想硏究(조선전기 사회사상연구)』
수도회 | 2015.02.23 | 추천 0 | 조회 617
수도회 2015.02.23 0 617
3721
정석종, 『朝鮮後期社會變動硏究(조선후기사회변동연구)』
수도회 | 2015.02.22 | 추천 0 | 조회 662
수도회 2015.02.22 0 662
3720
오갑균, 『朝鮮後期黨爭硏究(조선후기당쟁연구)』
수도회 | 2015.02.22 | 추천 0 | 조회 764
수도회 2015.02.22 0 764
3719
오영교, 『조선후기 사회사 연구』
수도회 | 2015.01.26 | 추천 0 | 조회 837
수도회 2015.01.26 0 837
3718
이광호, 「미군정의 교육정책」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597
수도회 2015.01.23 0 597
3717
김윤식, 「해방공간의 문학」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690
수도회 2015.01.23 0 690
3716
임헌영, 「해방직후 지식인의 민족현실 인식」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654
수도회 2015.01.23 0 654
3715
성한표, 「9월 총파업과 노동운동의 전환」
수도회 | 2015.01.23 | 추천 0 | 조회 596
수도회 2015.01.23 0 596